본문 바로가기

WORLD WIDE

베네수엘라, 나라 경제가 파산될때의 모습들 part.1

728x90

 

베네수엘라, 나라 경제가 파산될때의 모습들

 


사실상 디폴트가 된 나라이기에, 화폐의 가치를 상실함 (하이퍼 인플레이션)

 

베네수엘라

 

북쪽으로 대서양과 카리브해를 마주한

사회주의를 표명한 국가.

 

베네수엘라는 석유매장량이

세계 1위라고 불려질 만큼

많은 석유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였지만

 

현재는 나라가 파산하여

길거리에 돈을 뿌리고

음식은 구하기 힘들고

범죄자들이 아무렇지 않게 활보하고 다니는 중이다.

 

 

베네수엘라 자국화폐로

딱지같은걸 접고 있는 모습이다.

 

 

어쩌다 이런 사태까지 오게 된 것인가?

 


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00224/99841918/1

 

“베네수엘라 국민, 3명중 1명은 굶주려” 세계식량계획 발표

베네수엘라의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위기로 인해 국민들 3명 가운데 1명은 최소의 영양 섭취를 위해 뿌리채소와 콩으로 연명하면서 매 끼니를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유엔 …

www.donga.com

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64580.html

 

1년간 2400% 물가 오른 베네수엘라…2년 만에 고액권 발행?

장 보려면 현금 가득 필요…10만볼리바르=270원 불과10만대1 화폐개혁 효과 사라져…거래 60% 미 달러 이용

www.hani.co.kr

 

 

국제유가 하락?

 

과도한 복지정책들?

 

이런건 표면적인 이유다.

 

 

 

 

한때는 많은 석유를 보유 및 생산하며

 

 

 

남미의 대표 미녀모델들이 즐비했던 국가가

 

 

 

news.joins.com/article/23395982

 

베네수엘라 국적 성매매 여성들…지구 반바퀴 돌아 한국 왔다

전 세계인을 상대로 한 성매매 주범으로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는다.

news.joins.com

어떻게 나락으로 떨어졌는지

 

우리는 한번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음

 

그것도 지금 현 시점에!

더더욱 알고 넘어가야한다고 봄

 

자 그럼

베네수엘라가 파산한 이유의

근원으로 다가가보겠음

 

 

 

 

 

1. 우고 차베스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인이자

군인출신

 

64대 대통령

 

 


 

볼리바르 혁명의 지도자로서 사회주의의

추진과 더불어 라틴 아메리카 통합을 지향

 

미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미국의 대외정책에 맞서는

반미주의자로 알려져있음

 

베네수엘라의 차베스 대통령은

대규모 플랜을 계획한게

 

-빈부격차

-부정부패

-질병

 

이런 사회적인 문제를 퇴치하고자

포퓰리즘적 정책을 펼쳤음

 

 

 

 

-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

캐시카우를 베네수엘라 국영석유회사로

지정하고 석유생산을 극대화 시키려했고

경영진의 반발로 인해

공개적인 숙청을 시작함

 

- 기존 운영진과 직원이 갈려나가고

차베스가 등용한 젊은이들로

생산인력을 채웠으나

노련함과 경험치가 없는

그들은 기존 생산량을 못채움

 

- 결과적으로 투자가 줄고

경영난이 다가옴

 

 

*더불어서 석유 매장량은 최대라지만

생산량을 쉽게 늘리지 못하는

Extra heavy Oil

 

 


 

2. 베네수엘라 부정부패의 왕국

 

역시나 모든 문제는 돈

돈에서 돈으로 시작한다.

 

차베스 대통령과 +3인방이 운영하는

석유펀드는 수익의 25~30%를 가져감

 

겉으로는 본인의 포퓰리즘 정책에 기조하여

어려운 저소득층을 돕겠다는

주장을 하지만

정확히 그렇게 사용되었는지

아무도 알 수가 없음.

 

 


3. 국가가 통제하는 복지와 포퓰리즘

그 이면, 그리고 파산

 

베네수엘라 차베스의 복지정책은

초반까진 좋은 그림이 나왔었다고 함

 

음식 가격에 보조금을 지급함으로

국민들이 저렴한 가격에 식품을 구매했음

 

하지만 초반 반응이 좋다보니

결국 차베스색기가 선을 넘고

하나 둘 통제를 걸기 시작함

 

마치 중국처럼 일상에서의 통제가

그냥 자연스럽게 자리잡는 느낌

그렇게 통제가 시작되면서

경제난이 찾아오게됨

 

식료품 보조금 지급->

구매력을 높이기 위한 임금 상승->

자체적 SHOW ME THE MONEY(돈 찍어냄)->

 

그냥 차베스 너 하고 싶은거 다해

이 결과가 이렇게 이어지게 된 것.

 

 

 

차베스 이후의 마두로, 욕심이 그득한 얼굴이다.

 


 

4. 차베스의 이후 행보?

 

차베스 이후 정권을 잡은 마두로

이놈도 똑같은 기조를 가졌기에

달라질건 없었음.

 

 

차베즈, 마두로 당선이후
오일의 행보

 

 

5. 부정부패 뿐이냐

베네수엘라는 부정선거도 당연한것

그리고 2명의 대통령

 

부정선거로 당선된 마두로

나라경제가 파산나면서

가난의 시달리는 유권자들의

절망감을 이용하여

또 한번 재선에 성공한다.

 

 

그리고 혼란스러운 국가를 위해

국회의장이었던

 

베네수엘라 국회의장 출신

후안 과이도 의장이

 

마두로의 대선은 무효니까

 

스스로 대통령을 맡겠다면서

자유전직을 시전함.

 

 

 

 

6. 베네수엘라 파산 그리고 절정을 향해

 

그렇게 2명의 대통령을 등에 업은

베네수엘라에게 다가온건

 

국제 경찰을 자청하는 쌀국의 대장

도람프

 

열렬한 지지와 더불어

군사개입도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한층 더 열기가 더해짐

 

추가로 베네수엘라

국영 석유회사의
미국내 자산 동결조치를 내리면서

마두로의 지지층과 캐시카우를

마구 흔들어댐

(사실 미국 & 트럼프는 베네수엘라의

석유를 품으러 찾아온것)

 

이제는 탄핵을 바라보지만

 

당시 세계의 치안과 질서를

바로 잡아보고 싶어하는

세계경찰이 되고 싶으신

트황상


 

하지만 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마두로일까?

당연히 아니다.

 

이미 예전부터 러시아와 긴말한 관계를

이어왔던 베네수엘라의 마두로..

러시아라고 그냥 볼 수만 있을까?

미국에게 다 뺐길수 없지않은가!

 

그렇게 미국과 러시아까지

 

장기판에 뛰어들게됨.

 

 

나머지는

 

베네수엘라, 나라 경제가 파산될때의 모습들 part.2로..

 

 

 

728x90